278 album comments
Image | Artist name / Album title / Release date / Genres | Name / Rating / Date |
---|---|---|
![]() |
Hard Rock, Blues Rock
|
![]() 2017-11-09
|
1968년 8월에 해산한 The Yardbirds의 유일한 남은 멤버였던 기타리스트 Jimmy Page는 베이시스트 John Paul Jones, 보컬리스트 Robert Plant, 드러머 John Bonham을 영입하여 The New Yardbirds 라는 밴드명으로 스칸디나비아 투어 공연을 펼친다. 1968년 10월에 밴드명을 Led Zeppelin으로 바꾸고, 이듬해 1월에 본작을 내놓는다. | ||
![]() |
Blues, Electric Blues
|
![]() 2017-11-09
|
1964년 11월 21일에 미국 시카고에 있는 리걸 극장에서 펼쳐진 공연 실황 앨범. 블루스의 왕, 비비 킹의 명반으로서 최고의 블루스 음반 중 하나로 기억된다. 그날 밤의 뜨거운 열기가 앨범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 ||
![]() |
Rock Ballad, Progressive Thrash Metal
|
![]() 2017-08-03
|
넥스트가 가장 가까이 내게 다가온 순간 | ||
![]() |
Progressive Rock, K-Pop
|
![]() 2017-08-03
|
인형의 기사, 외로움의 거리, 아버지와 나, 영원히.. 평점을 매기기엔 너무나 많은 추억이 묻어 있는 앨범. | ||
![]() |
Heavy Metal, Hard Rock
|
![]() 2017-08-03
|
록계의 명사들이 선택한 주다스 프리스트 대표곡 모음. 한 장의 앨범으로 메탈갓의 음악을 즐기고자 할 때 본 작도 괜찮을 듯하다. | ||
![]() |
Heavy Metal, Hard Rock
|
![]() 2017-08-03
|
잠이 오지 않는 새벽.. 본 작을 틀고 침대에 누워 눈을 감았다. 지친 몸과 마음이 강렬한 에너지로 충전되는 동안 70분이라는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가버렸다. | ||
![]() |
Jazz Fusion, Jazz-Rock
|
![]() 2016-08-26
|
70년대의 대표적인 퓨전재즈 밴드인 웨더 리포트의 명반. 밴드의 대표곡 중 하나인 "Birdland"를 비롯하여 전곡에서 멤버들의 뛰어난 테크닉이 표출되고 있으며 특히, 자코 파스토리우스의 프렛리스 일렉 베이스 명연은 앨범의 가치를 더욱 빛내주고 있다. 퓨전재즈와 재즈록의 이정표. | ||
![]() |
Cool Jazz
|
![]() 2016-08-26
|
빌보드 앨범차트 2위에 올랐으며 100만장 이상 팔린 최초의 재즈음반. 재즈역사상 최고의 히트곡 중 하나인 싱글 "Take Five" 또한 100만장 이상 팔려나갔다. 비밥의 뜨거운 열기와는 상반되는 쿨 재즈의 매력을 느낄수 있는 앨범으로, 우아하고 매혹적이며 부드럽고 경쾌한 웨스트 코스트 재즈를 들려준다. | ||
![]() |
Funk, Psychedelic Soul
|
![]() 2016-08-26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네 번째 앨범으로, 다음 앨범인 "There's a Riot Goin' On"와 더불어 밴드 최고작으로 통한다. 펑크, 소울, R&B, 락 등의 음악을 당대 시대사조였던 사이키델릭이라는 이름하에 버무렸다. 타이틀곡 "Stand!"와 빌보드 싱글차트 4주간 1위를 차지한 "Everyday People"이 앨범의 대표곡들이다. | ||
![]() |
Contemporary R&B, Pop Rap
|
![]() 2016-08-26
|
알 켈리 최고의 히트작으로 1,200만장 이상 팔려나갔다. 총 9곡이 싱글로 발매되었는데, 셀린 디온과의 듀엣곡 "I'm Your Angel"이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을 6주간 차지하였으며, "I Believe I Can Fly"는 2년 전에 "Space Jam"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었던 곡으로 싱글차트 2위에 올랐었다. | ||
![]() |
Contemporary R&B, New Jack Swing, Hip Hop
|
![]() 2016-08-26
|
알 켈리의 데뷔 앨범으로 모든곡을 작사, 작곡, 편곡 및 프로듀싱하였다. 관능적인 19금 곡들로 가득하다. 미국내에서만 600만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대표곡 중 하나인 두 번째 싱글 "Bump N' Grind"가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에 올랐다. | ||
![]() |
Southern Soul, Deep Soul
|
![]() 2016-08-26
|
흑인의 자부심을 노래하는 본 소울 명반은 흑인인권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롤링 스톤즈의 "Satisfaction"을 재해석 한 것이 인상적이다. 수록곡 중 "Respect"는 이후 아레사 프랭클린이 리메이크하여 대히트하게 된다. 1967년 12월 10일 비행기 추락사고로 26세의 젊은 나이에 숨져 안타까움을 주었다. | ||
![]() |
Progressive Metal
|
![]() 2016-08-26
|
2004년 4월 26일, 일본 도쿄 부도칸에서 펼쳐진 공연 실황 앨범. 원곡을 훨씬 뛰어넘는 감동을 선사하는 "Hollow Years"를 비롯하여 전곡에서 빼어난 연주를 선보인다. | ||
![]() |
Jazz Fusion, Smooth Jazz
|
![]() 2016-08-26
|
1978년 결성된 티스퀘어는 일본의 퓨전재즈계를 대표하는 그룹으로, 일본 골든디스크 재즈부문 11회 수상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본작은 밴드의 15번째 앨범으로 청량감 넘치는 밝고 시원한 느낌의 음악을 들려준다. | ||
![]() |
Modal Jazz, Cool Jazz
|
![]() 2016-08-26
|
코드가 아닌 모드를 중심으로 연주를 펼치는 모달 재즈의 탄생을 알린 걸작. 빈번한 코드 변화의 복잡한 곡진행 대신 하나의 코드에 기초를 두었으며, 코드의 제약으로부터 해방된 즉흥연주는 보다 자연스럽게 연주자의 내적감성을 표출하게 되었다. 재즈 역사의 수많은 명작들 중에서도 최고 명작. | ||
![]() |
Neo-Soul, Contemporary R&B, Smooth Soul
|
![]() 2016-08-25
|
네오소울 뮤지션 맥스웰의 데뷔작. 낭만적이고 복고적이며 평화롭고 감미롭다. 또한 매우 세련되고 현대적이며 고급스럽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내적 감성을 자극하며 달콤하게 다가온다. 미국내에서만 200만장 이상이 판매되었다. | ||
![]() |
Soul, R&B
|
![]() 2016-08-25
|
마빈 게이의 커리어 뿐만 아니라 소울 음악의 최고 걸작으로 추앙받는 명반. 부드러운 팝음악을 원했던 모타운 레이블과의 치열한 갈등 끝에 탄생한 음반으로, 전쟁의 종식을 외치며 미국사회의 불의와 민중의 고통을 이야기하고 있다. 발표한 세 곡의 싱글 모두 빌보드 싱글차트 10위권에 올랐다. | ||
![]() |
Jazz, ECM Style Jazz, Modern Classical
|
![]() 2016-08-25
|
키스 자렛의 독일 쾰른 콘서트를 담고 있는 앨범으로 재즈사에 남을 기념비적 작품으로 손꼽힌다. 순간의 즉흥적인 음악적 영감을 포착해낸 최고의 공연 실황 앨범이라 할 만하다. 매우 서정적이고 독창적인 연주로 가득하다. 350만장 넘게 팔리며 가장 많이 팔린 솔로 재즈 음반으로 기록되었다. | ||
![]() |
Neo-Soul, Contemporary R&B, Hip Hop
|
![]() 2016-08-25
|
혼성 힙합 트리오 푸지스의 1996년작 "The Score"가 1,100만장 이상 팔리며 대스타로 발돋움한 로린 힐의 솔로 데뷔작이자 마지막 앨범. 1,200만장 이상 판매되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Doo Wop (That Thing)"은 빌보드 싱글차트 정상을 차지했다.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을 포함한 5개 부문을 수상했다. | ||
![]() |
Contemporary R&B, Neo-Soul
|
![]() 2016-08-25
|
미국의 R&B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인 조의 세 번째 앨범으로 커리어 최대 히트작이다. 빌보드 앨범차트 2위에 올랐으며 RIAA 트리플 플래티넘(300만장 이상 판매) 인증을 받았다. 싱글 "Stutter"은 빌보드 싱글차트 1위에, "I Wanna Know"은 4위에 올랐다. 본작 이후 점차적으로 하향세를 걷게 된다. |